고등학교 내신 등급은 각 과목의 원점수와 더불어 여러 평가 요소를 종합하여 산출되는 석차백분율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먼저, 한 학기 동안의 중간고사, 기말고사, 그리고 수행평가 등 다양한 평가 점수들이 정해진 비율에 따라 합산되어 각 과목의 최종 원점수가 산출됩니다. 이 원점수를 바탕으로 해당 과목에서 학생들이 얻은 성적 분포를 고려하여 석차백분율이 정해집니다.
이 석차백분율에 따라 등급이 부여되는데, 일반적으로 상위 4%까지는 1등급, 그다음 5%부터 11%까지는 2등급 등으로 나누어 9등급 체제로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만약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점수가 개별적으로는 좋은 편이었다고 하더라도, 수행평가 점수나 학기 전체의 다른 평가 요소가 다소 낮거나, 혹은 학기말 기준으로 학생들 간의 상대적인 석차백분율이 예상보다 낮게 형성된다면 최종 학기말 등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간 기말 3등급 3등급'이라는 것이 단순한 점수대를 의미하고 최종적인 석차백분율이 4등급에 해당하는 범위에 속하게 되면, 학기말 등급이 4등급으로 나올 수도 있습니다. 학기말 등급은 단순히 개별 시험 점수가 아닌, 모든 평가 요소가 반영된 최종 성적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결정됩니다.